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인문 l 역사
상품조르기 대량구매문의

춘추 春秋: 위대한 정치 지배자, 김춘추

(해외배송 가능상품)
공급사 바로가기
기본 정보
도서명 춘추 春秋: 위대한 정치 지배자, 김춘추
정가 13,000원
저자 이종욱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발행일 2009년 10월 10일
형태사항 448쪽 | 210*143mm
ISBN 9788958720843

이벤트

상품상세정보

 

* 이 책은 《춘추 : 신라의 피, 한국·한국인을 만들다》의 보급판입니다.

KBS 대하드라마《대왕의 꿈》의 역사적 고증과 뿌리가 된 『춘추』

오래 전부터 신라 시대를 배경으로 한 대중문화 콘텐츠는 끊이지 않았다. 몇 해 전, 정사에는 존재하지 않는 미실美室의 이야기가 소설화되어 많은 사람의 입에 오르내렸고, 선덕여왕과 미실, 그 주변 인물의 이야기를 다룬 TV 드라마가 세간의 이목을 받았다. 그리고 2012년 다시 한 번 진짜 신라, 진짜 김춘추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KBS에서 80부작으로 제작되는 대하드라마《대왕의 꿈》은 제작 초기부터 화제를 모았다. 그것은 우리가 배우고 익힌 <김춘추>가 아닌, 진짜 김춘추와 신라 이야기를 재조명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바탕에는 이종욱 교수가 펴낸『춘추』가 있다. KBS는 이종욱 총장에게 자문교수 역할을 기꺼이 청한다.

『춘추: 신라의 피, 한국·한국인을 만들다』는 이종욱 교수의 지난 30여 년에 걸친 신라사 연구의 핵심을 모아 구축한, 새롭고 정확한 신라사 및 김춘추 연구서다.『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물론, 『화랑세기』에 기반을 두고, 신라 중흥의 군주 태종무열왕 김춘추와 그가 기획한 신라의 삼한통합에 대한 진짜 이야기를 알고자 하는 독자에게 최상의 지식을 선사한다. 가히 현대 신라사의 정전正傳이라 부를 만하다.

신라, 김춘추, 이 몹쓸 것들!

사서史書를 펼쳐보라. 한국사를 선사시대부터 읽어내려 가다가 고대사회 부분을 지나면서, 이런 대목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춘추春秋. 무열왕. 나당연합. 신라의 삼한통합(삼국통일)…….”

이 인물과 사건들에서, 우리는 어떤 기분을 느끼는가? 열에 예닐곱은 왠지 모를 거부감을 느낄 것이다. 이건 일차적인 반응에 불과하다. 눈살을 찌푸리며 혀를 끌끌 차는 사람은 물론, “신라, 이 몹쓸 것들!” 하며 비분강개하는 이도 있다.

그렇다. 지금까지 신라 그리고 김춘추는, 이른바 ‘민족 형성사’로서의 고대사에서 ‘과거사 청산’ 대상 1호였다. 김춘추의 신라, 신라의 김춘추는 삼한통합의 원대한 꿈을 이루어 오늘날 한국인을 있게 한 장본인이다. 그런데도 거대한 외세 당나라에 사대해 동족同族 백제와 고구려의 자랑찬 역사와 문화를 짓밟은 파렴치하고 패륜적인 세력 정도로 치부되고 있다. 연구자들 중에서도 많은 수는 신라가 수행한 삼한통합(이른바 삼국통일)의 의의는 인정하지만, 그것을 실현하는 데 동원된 방법에는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하는 게 현실이다.

심하게 말해 ‘공공의 적’으로까지 평가절하 된 춘추와 대신라(통일신라). 이런 평가가 나오기까지, 한국 사학계와 교육 현장에서는 도대체 어떤 일이 벌어진 것일까?

관학파의 민족사학, ‘죽은 권력’ 김춘추와 신라에 테러를 가하다

1945년 이후 해방 공간의 사학계에서, 김춘추와 그가 건설한 대신라는 ‘한민족의 웅혼한 기상을 앙양’하기 위한 프로젝트인 ‘민족사’ 구축의 첫 번째 희생 번제燔祭가 되었다. 왜 하필 그들이었을까?

저자는 이른바 ‘민족사’라는 한국사학의 계파에 주목한다. ‘관학파官學派’는 ‘민족’이라는 개념을 한국고대사에 도입·적용해, 논의의 핵심을 ‘민족’의 문제로 치환했다. “국민은 민족”이고 “한국사는 민족사”라고 명토 박아, 한국 역사 속의 모든 나라와 그 안에 살았던 모든 사람을 단군의 자손인 한민족韓民族이라 규정했다.

학문 권력을 장악한 이들의 표적이 된 게 바로 김춘추와 신라였다. 당나라라는 거대한 외세와 결탁해 ‘동족’ 백제를 치고, 나아가 ‘만주벌판을 말달리던’ 고구려의 ‘웅혼한 민족 기상’까지 거꾸러뜨려 놓고선, 그것을 통일 대업의 완성으로 포장했다는 것이다. 이 견해는 1974년 이래 국가가 주도해 만든 국정교과서 고등학교 『국사』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신라의 삼한통합은 이른바 ‘불완전한 통일’로 규정된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후 김춘추는 을사오적에 준하는 반민족 행위자의 표상이 되었다.

저자는 이 점을 분명히 밝히는 데서 시작하고, 또한 끝맺는다. ‘민족’ 개념이 일제 강점 이후 이 땅에 유입되고 사용되기 시작했음을 도외시한 채 관학파는 십수 세기 전의 역사에까지 ‘민족’을 소급 적용해 고대사를 연구하는 촌극을 벌여왔다. ‘단군의 순수 혈통을 물려받은 단일민족’의 이념을 발명해 국민에게 강요한 이들의 역사하기는, 결국 오늘날 한국인의 왜곡된 역사의식에 단초를 제공했다. 김춘추와 대신라, 바로 그 시대의 역사를 올바로 재구성하는 데서, 저자는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기를 시작한다.

춘추, 그는 누구인가?

진골로서 최초로 왕위에 등극한 신라 제29대 태종무열왕은 진지왕의 직계 손자, 진평왕의 외손자, 선덕여왕의 조카, 용수갈문왕과 천명공주의 아들이다. 본디 춘추는 성골로 태어나 당연히 왕위에 오를 수 있는 조건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할아버지 진지왕의 폐위로 인해 일족이 진골로 강등되면서, 자력으로 거대한 운명을 개척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어린 시절 10년간 왕궁에서 성골 왕족과 함께 생활하며 왕자王者로서의 기본 자질을 형성했다. 진평왕의 사위로서 왕위를 계승할 지위를 갖고 있다가 선덕공주에게 그 자리를 내주며 출궁하게 된 아버지 용수갈문왕을 따라 출궁하며 새로운 운명을 맞는다.

평생 한 몸과 같이 지낸 김유신의 권유로 화랑도에 들어가 풍월주 활동을 하며 칠성우라는 평생 추종 세력을 거느리고 당대의 국제 정세를 파악함으로써 삼한통합을 개인적·국가적 목표로 세운다. 선덕여왕의 지근거리에서 주요 직위를 맡아 활동하던 그는 유신, 칠성우 세력과 함께 왕위 찬탈을 노린 반란을 진압하며 진덕여왕을 즉위시킴으로써 왕이 되기 위한 모든 준비를 마친다. 그리고 660년, 드디어 신라 제29대 왕 태종무열왕으로 즉위한다. 당나라와의 군사 연합으로 백제를 멸망(660년)시킨 그는, 삼한통합이라는 원대한 목표를 눈앞에 둔 채 이듬해 파란만장한 일생을 마친다.

신라인 김춘추, 한국인의 유전자에 아로새겨지다

저자는 ‘한국·한국인의 근원(origin)’이라는 말로 그의 업적에 대한 위와 같은 구구한 설명을 압축한다. 김춘추, 그리고 신라(혹은 대신라)를 한국·한국인의 기원으로 보는 데에는 분명한 역사적 근거가 있다. 한국인의 대다수가 신라인을 시조 또는 중시조로 하는 김金, 이李, 박朴, 정鄭, 최崔, 손孫 등을 성으로 하는 씨족에 속해있다는 간단하고도 명쾌한 현실을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는 자명하다.

한마디로, 춘추-태종무열왕의 존재가 이를 대변한다. 그는 삼한통합이라는 대역사大役事를 기획해 추진했고, 생전에 직접 백제를 평정함으로써 그 길의 과반過半에 도달했다. 그의 아들 문무왕은 선왕의 유지를 이어받아 고구려를 평정하는 데 성공했고, 통합된 삼한을 병탄하려는 야욕을 드러낸 과거의 우방 당나라를 격퇴함으로써 삼한통합의 대업을 완성했다. 그 후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의 옛 영토와 백성을 한데 모아 대신라(통일신라)를 운영했다. 그 과정에서 백제와 고구려의 혈통은 도태되어갔고, 문화 등 사회 제분야 역시 신라의 사회 체제에 흡수되었다.

서로 정복하느냐 정복당하느냐라는 절체절명의 운명을 안고 피 튀기게 싸운 삼한의 각 나라는, 동족의식이라는 것은 알지도 못한 채 자국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투쟁했다. 그 결과는 바로 신라의 삼한통합으로 귀착되었다. 고려, 조선을 지나 현재에 이르는 한국사의 도도한 흐름 속에서, 결국 신라의 혈맥과 역사적 유산만이 계승되고, 백제와 고구려의 존재는 역사의 저편 어딘가에 조용히 안장된 것이다. 이 모든 역사의 물줄기를 거슬러 올라가면, 그 수원水原에 춘추가 당당히 앉아있다.

저자는 이러한 춘추의 일대기와 그의 활동으로 성사된 삼한통합의 과정을, 다양하게 수집한 역사 자료의 교집합을 통해 생생하게 재구성해냈다. 신라사의 진면목을 알고자 하는 독자에게는 가뭄 중 단비와 같은 자료가 될 것이다.

경주에서 보낸 1년―춘추를 다시 만나다

저자는 20세기 한국 사학계를 주도해온 관학파의 민족주의적 연구 관행을 넘어선 올바른 고대사 연구 풍토의 정착을 위해 매진해왔다. 2007년 안식년을 맞아 신라 천년의 고도古都 경주에 내려가, 자신이 연구해온 신라의 역사에 대해 한 해 동안 되짚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 속에서 김춘추의 진면에 새롭게 주목하고, 그것을 정리해보겠다고 결심했다. 먼지 쌓인 기록들을 하나하나 끄집어내어 이 책으로 재구성했다.

저자는 말한다. “평가절하도, 신화화도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의 신라를 직시하자”고. 그리고 덧붙인다. “그럴싸한 이야기에 역사라는 거죽만 씌운 채 오늘 우리에게 제공되고 있는 역사 관련 콘텐츠를 경계하자”고. 민족사학의 역사 왜곡이 자아낸 한국(고대)사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아울러 새롭고 정확하고 재미있는 역사 관련 문화 콘텐츠의 보급·양산을 위해, 여기 ‘춘추, 그리고 그가 추진한 신라의 삼한통합 이야기’를 펼쳐냈다. 

책 머리에

들어가며 : 춘추를 재구성하기 위한 준비

Ⅰ. 위대한 군주의 탄생
1. 왕위 계승의 운명을 안고 태어나다
2. 춘추의 운명을 결정한 사람들―진지왕과 그의 아들 용수와 용춘
소결 : 춘추에게는 왕위에 오를 세 번의 기회가 있었다

Ⅱ. 제세의 뜻을 키운 왕궁(603~612, 출생~열 살)
1. 왕위 계승자로 선택된 용수, 그의 아들로 자라난 춘추
2. 어린 춘추가 본 국제 정세
3. 신라인의 삶에 다가온 변화
4. 춘추가 본 불교와 유학
소결 : 춘추, 모국어를 익히는 기간에 왕자王者로서의 자질을 갖추다

Ⅲ. 궁을 나와 더 큰 그릇으로(진평왕 대, 612~632, 열 살~서른 살)
1. 두 번째 왕위 계승 기회를 잃은 춘추
2. 부제를 지낸 4년(612~616)
3. 미스터리의 11년(616~626)
4. 춘추, 칠성우를 만나다
5. 왕이 되기 위한 준비를 착실히 하다
6. 풍월주를 지낸 4년(626~629)
7. 진평왕 대에 상선으로 지낸 4년(629~632)
소결 : 춘추, 화랑이 되어 위엄을 얻고, 평생 추종 세력인 칠성우를 거느리다

Ⅳ. 여왕 곁에서 꿈을 품다(선덕여왕 대, 632~647, 서른 살~마흔다섯 살)
1. 진평왕의 선택에 의한 여왕의 즉위
2. 선덕여왕과 용수·용춘 그리고 춘추
3. 고타소의 죽음과 목숨을 걸고 적국 고구려에 간 춘추
4. 선덕여왕 대의 칠성우와 풍월주, 그들의 활동
5. 비담의 반란을 진압하며 루비콘 강을 건너다
6. 중국 문명의 수용과 갈등
7. 국제 정세의 변화
소결 : 선덕여왕 대에 춘추가 보여준 정치 천재의 모습

Ⅴ. 쉼 없는 준비, 구체적인 실천(진덕여왕 대, 647~654, 마흔다섯 살~쉰두 살)
1. 춘추의 왕위 계승의 전주곡이 된 진덕여왕의 즉위
2. 진덕여왕 대의 춘추
3. 칠성우, 왕정을 장악하다
4. 당나라에 간 춘추, 무엇을 성취하고 무엇을 기획하게 되었을까?
5. 춘추가 주도한 신라의 중국화
6. 춘추를 왕으로 삼기 위한 제도 개혁을 단행하다
7. 무르익어가는 춘추의 대지大志
소결 : 춘추, 진덕여왕 대의 왕정을 장악하다

Ⅵ. 드디어 즉위 그리고 백제 정복(태종무열대왕, 654~661, 쉰두 살~쉰아홉 살)
1. 제세濟世의 군주 왕위에 오르다
2. 무열왕의 영걸英傑한 활동
3. 삼한통합의 기착지, 백제 평정
4. 백제 정복, 그 이후
소결 : 무열왕, 군주가 되어 정치 천재로서의 자질을 보여주다

Ⅶ. 신라 중흥, 위업이 완성되다(문무왕·신문왕)
1. 태종무열대왕의 죽음
2. 선왕의 유업을 완성한 문무왕
3. 신문왕, 개혁으로 평화를 부르다
4. 신라는 그를 영원히 기억한다
소결 : 무열왕·문무왕·신문왕 시대의 특성

나가며 : 한국·한국인을 만든 신라의 피
1. 역사의 새 방향을 결정하다
2. 춘추는 어떻게 평가되었는가
3. 춘추에게 강요하지 말아야 할 것
4. 민족·민족사를 보는 관점을 버려야 한다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종욱

서강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한국고대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캔자스 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에서 인류학·고고학을 연구한 뒤 서강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고대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인류학 및 사회학과에서 Post-doctoral Fellow로 인류학·고고학·사회학을 연구했다.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거쳐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2009년 6월부터 서강대학교 제13대 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일제의 식민사학에서 비롯된 20세기 한국 사학계의 민족주의 경향을 넘어서기 위해 지난 30여 년간 한국고대사 연구의 올바른 체제 정립에 주력했다. 특히 한국 초기국가의 형성, 대외관계, 정치제도, 지방제도, 왕위계승, 건국신화, 골품제도, 친족제도, 화랑도 등의 연구를 통해, 지난 세기 한국고대사 연구의 과오를 바로잡고 새롭고 정당한 패러다임을 형성하는 데 매진해왔다.

저서로는 『신라상대왕위계승연구』, 『신라국가형성사연구』, 『고조선사연구』, 『한국초기국가 발전론』, 『신라골품제연구』, 『한국의 초기국가』, 『한국고대사의 새로운 체계』, 『화랑세기』, 『화랑세기로 본 신라인 이야기』, 『신라의 역사』, 『역사충돌』, 『화랑』, 『한국사의 1막 1장』, 『색공지신 미실』, 『대역 화랑세기』, 『고구려의 역사』, 『민족인가, 국가인가?』, 『주몽에서 태조대왕까지』 등이 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