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인문 l 역사
상품조르기 대량구매문의

조선의 집 동궐에 들다-창덕궁과 창경궁으로 떠나는 우리 역사 기행

(해외배송 가능상품)
공급사 바로가기
기본 정보
도서명 조선의 집 동궐에 들다-창덕궁과 창경궁으로 떠나는 우리 역사 기행
정가 18,000원
저자 한영우 글, 김대벽 사진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발행일 2006년 10월 9일
형태사항 296쪽 | 222*167mm
ISBN 9788958720331

이벤트

상품상세정보

 

많은 사람이 조선을 대표하는 궁궐로 경복궁을 꼽지만, 정작 국왕들이 가장 오랫동안 머문 장소는 바로 창덕궁과 창경궁이다. 경복궁이 정궁正宮이기는 했으나, 태종의 ‘왕자의 난’이 일어난 비극의 무대였으므로, 후대 왕들은 그곳을 기피했다. 또 북쪽의 백악산白岳山과 서쪽의 인왕산仁王山에 노출된 경복궁과 달리, 창덕궁과 창경궁은 깊은 숲에 가려 쉽게 드러나지 않을 뿐 아니라, 아름다운 후원 덕분에 왕족의 집으로 더 사랑받았다.
이렇게 조선 왕조의 중심지였던 동궐에서는 굵직굵직한 역사적 사건이 일어났다. 우선 창덕궁의 돈화문敦化門을 지나 인정문仁政門으로 향해보자. 이곳은 임금의 즉위식이 치러진 공간으로, 연산군을 비롯하여 효종, 현종, 숙종, 영조, 순조, 철종, 고종 여덟 임금이 왕이 되었다. 즉위한 공간은 같았으나, 그 뒷모습은 사뭇 달랐다. 반정反正으로 쫓겨난 이가 있는가 하면, 역대 왕 가운데 가장 오래 재위한 이도 있고, 망국의 과정을 직접 지켜봐야 했던 이도 있다.
지금은 사라져 <동궐도〉로만 확인할 수 있는 궁도 있다. 바로 중희당重熙堂으로 창덕궁의 건물 가운데 가장 크고 멋들어졌으며, 넓은 마당에는 풍기風旗, 해시계, 측우기까지 놓여있었다. 정조가 편전으로 사용하기도 한 중희당에는 과학을 중시하고 조선의 문예 부흥을 이끈 그의 면모가 그대로 드러난다.
다음은 성종의 효심이 탄생시킨 궁궐, 창경궁으로 가보자. 창경궁 정문인 홍화문弘化門은 출입을 위한 공간이었을 뿐 아니라, 임금이 일반 백성과 만나는 장소이기도 했다. 영조는 1750년 균역법을 시행하기 전, 이곳에서 몸소 백성의 의견을 물었고,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의 회갑을 기념해 가난한 백성에게 쌀을 직접 나누어주었다. 또 창경궁의 정전인 명정전明政殿 옆에 자리한 문정전文政殿은 사도세자의 목숨이 스러진 장소다. 이곳 앞뜰에서 스물여덟의 세자는 뒤주에 갇혀 비극적인 죽음을 맞았다.
한편 창덕궁과 창경궁의 경계선에 자리했던 낙선재樂善齋에는 조선의 마지막 왕족이 머물렀다. 일제에 국권을 빼앗긴 순종純宗이 통한의 세월을 보냈고, 영친왕英親王의 부인 이방자李方子 여사가 세상을 떠나기 전인 1989년까지 살았으며, 2006년 8월 작고한 마지막 황세손 이구李玖의 빈청殯廳이 이곳에 세워졌다. 본래 국상國喪을 당한 왕후와 후궁의 처소로 사용되며 단청조차 하지 않은 이 검박한 집은, 망국의 슬픔에 찬 왕족의 마지막을 함께한 동반자였던 셈이다.

이제 동궐의 속살, 후원으로 향해보자. 북한산과 응봉鷹峯에서 뻗은 9만여 평의 이 왕실 정원에는 한때 100여 개 이상의 누각과 정자가 자리했으나, 현재는 누樓 열여덟 채, 정자 스물두 채만이 남아있다. 유독 정자의 규모가 작고, 시골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초가草家와 농막農幕 형태가 많은 까닭은 자연 경관을 위압하지 않으면서 자연에 포근하게 안기려는 소박한 마음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특히 후원의 북쪽 끝에 자리한 옥류천 일대는 널찍한 바위와 폭포, 정자들이 어우러져 한 폭의 선경仙境을 연출한다. 그래서 이곳의 취한정에 머물던 숙종은 아름다운 봄밤에 취해 “온 뜨락의 꽃그림자는 봄밤에 머문 달이요, 정원 가득한 솔 소리는 밤에 듣는 파도라네.”라고 노래하기도 했다.
그러나 주인 떠난 옛집에 따스한 입김을 불어넣는 이 기행이 책으로 묶이기 직전, 동궐 곳곳을 프레임 속에 담아내던 김대벽 선생이 세상을 떠났다(2006년 9월 18일). 사라지는 모든 것들은 우리를 슬픔으로 이끌지만, 그의 마지막 사진들은 여전히 말하고 있지 않은가. 소멸의 숙명은 누구에게나 공평하지만, 추억하는 이가 있는 한 영원을 기약할 수 있다고. 이제 역사의 시·공간 속에 진정한 ‘조선의 집’으로 되살아난 동궐에 들면, 자식을 기르고 부모를 공양하며 필부필부匹夫匹婦의 삶을 살아가던 왕족 일가뿐 아니라, 투병 중에도 카메라를 놓지 않던 그의 혼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책을 내면서 4

궁궐 이야기
조선의 창, 궁궐 16
1. 동궐의 역사 18
2. 동궐의 공간 배치 28
3. 동궐을 보는 방법 31

창덕궁
임금이 사랑한 궁궐, 창덕궁 36
1. 임금의 위엄이 서린 인정전 38
| 돈화문과 그 부근 | 조하의 공간, 인정전 | 즉위의 공간, 인정문
| 인정전 서편선원전, 양지당, 영의사
2. 왕실 행정 도맡은 궐내각사 60
| 인정전 서편의 궐내각사홍문관, 내의원 등
| 인정전 남편과 동편의 궐내각사빈청, 승정원, 선전관청 등

사계로 물든 창덕궁의 표정 76
1. 임금과 왕족을 위한 공간 78
| 임금의 편전인 선정전 | 선정전 북편의 보경당, 태화당, 재덕당
| 편전과 세자궁으로 쓰인 희정당 | 왕비의 공간, 대조전
| 대조전 북편경훈각, 징광루, 집상전, 영휘당, 옥화당
2. 대비와 세자의 생활공간 102
| 수정전 | 영모당, 경복전과 그 일대 | 성정각과 관물헌
| 정조 이후의 세자궁, 중희당 | 효명세자의 처소였던 연영합

창경궁
창경궁의 빛과 어둠 124
1. 왕조와 운명을 함께한 창경궁 126
| 왕의 효심이 빚은 궁궐 | 홍화문과 그 일대 | 명정전과 문정전 | 숭문당, 함인정, 취운정 2. 창경궁의 생활공간 151
| 침전으로 쓰인 환경전 | 공묵합 | 경춘전 | 연경당, 연희당, 양화당, 체원 합
| 통명전 | 자경전 | 집복헌, 영춘헌

왕실의 마지막 집, 창경궁 170
1. 임금의 아들·딸을 위한 공간 172
| 통화전, 취요헌, 난향각, 신독재 등 | 수강재, 진수당, 춘방 등 | 저승전, 취선당 2. 임금을 보필한 궐내각사 181 3. 궁은 왕을 기억한다, 낙선재 185

후원

동궐의 속살, 후원 196
1. 상림십경을 어이 홀로 즐기리 198
| 자연과 인간이 하나되는 곳 | 주합루, 규장각 | 서향각과 봉모당
| 열고관, 개유와, 서고 | 희우정, 천석정, 부용정, 비각
2. 청운의 꿈이 모여드는 곳 219
|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 의두합(기오헌), 운경거, 애련정, 어수당 3. 연경당의 비밀을 찾아서 230
| 단청 없는 사대부집 | 왕권 회복을 향한 꿈

후원의 꽃그림자 242
1. 우리 정원의 백미, 존덕정과 옥류천 244
| 존덕정, 폄우사, 관람정 등 | 옥류천 일대의 정자들
2. 문명국가의 자부심, 대보단 일대 262
| 능허전 일대 | 대보단과 그 일대 | 관덕정, 장원봉, 관풍각, 춘당지

궁을 나서며 280
주 282
참고문헌 284
찾아보기 286
부록 〈동궐도〉

글 : 한영우 韓永愚

『다시 찾는 우리 역사』의 저자 한영우는 한국의 대표적인 국사학자이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장, 미국 하버드대학 객원교수, 한국사연구회 회장, 서울대학교 규장각 관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장, 한림대 특임교수를 역임하고 현 이화여대 석좌교수, 서울대 명예교수,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위원장으로 있다. 그가 쓴 『다시 찾는 우리 역사』는 이 시대의 대표적인 한국사 통사로 부동의 위치를 고수하고 있다. 저서로는 『왕조의 설계자 정도전』『조선전기 사학사 연구』『조선후기 사학사 연구』『조선시대 신분사 연구』 등이 있다.

그림 : 김대벽

1929년 함경북도 행영 출생으로 한신대 신학대학을 졸업했다. 1968년부터 한옥과 궁궐 등 주로 전통문화 관련 촬영에 전념해왔으며, 한옥문화원 연구원, 한국사진가협회 자문위원, 해라시아문화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개인전으로 신세계 초대전 〈한국인의 삶터〉(1986)를 가진 바 있고,
공저로 『경복궁』, 『문화재 대관­중요 민속 자료편』, 『석굴암』, 『아름다운 우리 문화재』,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한옥』, 『한국 가면 및 가면극』, 『한국의 고궁 건축』, 『한옥의 고향』 등이 있다.
문화유산 전문 사진가로 독보적인 족적을 남기고 2006년 9월 작고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